티스토리 뷰

반응형

 품새는 태권도의 손기술, 발기술, 서기 자세등이 조합되어 구성된 하나의 '형' 이다. 태극1장~8장, 고려, 금강, 태백, 평원 등등의 이름으로 만들어져 있고 각 급, 단이 수련해야할 품새도 정해져 있다. 

 겨루기는 정해진 틀이 없다. 사람과 사람이 가지고 있는 타격위주의 태권도 기술을 보여주어 상대방을 제압해야 하는 것이다. 정형화된 방식으로 기술을 사용한다면 승리할 수 없고 매순간에 유연한 생각과 임기응변에 능하지 않으면 이길 수 없는 것이 겨루기이다. 

  이 두가지중 무엇이 먼저일까??


겨루기가 먼저다

무엇이 먼저냐 함은 무예, 무술, 무도 따위로 불리는 모든 것들(태권도 포함)의 본질, 기원을 생각해 보자는 것이다. 무술이라는 개념이 생기기전 맨몸으로 싸우든, 무기를 들고 싸우든 격투라는 개념은 있었을 것이다. 주먹질, 발길질을 해가면서 싸움에 이기기 위해, 또는 나를 보호하기 위해 싸움을 했을것이고 이러한 싸움기술에 능한 사람이 이 기술을 보급하기 위해, 또는 가르치는 사람들에게 쉬운 가이드를 마련하기 위해 기본동작을 조합한 품새라는 것을 만들었을 것이다. 


겨루기의 가치

무술에서 겨루기(대련)의 가치를 추구한다는 것은 무술의 본질에 더 다가가는것이라 볼 수 있다. 상대방과의 겨루기를 통해 내 신체능력이 강화됨은 물론이고 나를 보호할 수 있는 기술을 단련할 수 있으며  혹시나 살면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 또한 기를수 있다. 또한 정신적으로 유연한 사고와 대처능력을 기를 수 있으며 빠른 상황판단을 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겨루기(대련)의 중요성을 알고 실천한 무술인들

겨루기(대련)의 가치를 알고 본인들이 창시한 무술에 최대한 적용시키려 한 인물들이 있다.
이소룡(절권도 창시자), 최영의(극진 가라데 창시자) 이 두사람이 남긴 명언에서 이들의 철학을 알 수 있다.
 1. 이소룡 : "무술인이 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자세는 물이 되는것이다. 물은 그릇에 따라 모양이 달라진다" 
  어떠한 틀에 갖춰진 연습이나 단련이 아닌 유연한 태도로 수련에 임해야 한다는 뜻을 담고 있는것 같다.  이소룡이 과거 누구보다도 실전에 강한 파이터 였다는 사실은 누구나 알고 있는 것처럼 그의 정신을 절권도에 이식시켜 만들어내었다. (자연스러움, 유연함,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정신 때문인지 절권도에는 어떠한 승급체계나 품새가 없다.)

2. 최영의(최배달) : "실전이 없으면 증명이 없고, 증명이 없으면 신용이 없고, 신용이 없으면 존경받을 수 없다"
 실전을 중요시한 그의 생각이 잘 담겨 있는 명언이다.  극진 가라데는 실전을 빼고서 설명이 되지 않는다. 극진가라데 경기를 보면 단번에 알 수 있다. 
  *경기 링크 :   극진가라데 경기
  

 태권도 겨루기가 잃어버린것

 태권도가 대중화 되면서 스포츠로서의 입지를 다지게 되었고 그 결과로 주먹을 쓰는데 소극적이 되었으며 발차기도 제한적으로 하게 되었다. 이렇게 스포츠로서 이미지를 굳히기 위해 많은 제약을 걸어이목을 끌었던 태권도가 현재는 재미없는 스포츠로 혹평받고 있다. 예전에 보았던 다양한 발기술과 화려한 발차기는 볼 수 없게되었고, 방어를 위주로한 임팩트 없어 보이는 발차기로 점수내기용 게임이 되어버려 인기가 시들해지고 있다.  

이렇게 인기가 점점 줄어들어 올림픽 종목에도 존재하느냐 마느냐 이야기들이 나오고 있는 이 시점에 태권도가 나아가야 할 길은 명확해 보인다. 문제는 예전부터 이 문제를 너도 알고 나도 알고 모두가 알고 있는데 개선이 좀처럼 되지 않는 다는 것이다. 
 태권도를 좋아하는 1인으로서 이 문제가 현재진행형으로 개선되는 중이라 믿고 싶으며, 오래 고민한 만큼 많은 사람들이 납득할 만한 방향으로 해결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