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필자는 도장에서 운동을 해오면서 많은 수련생들을 관찰해 왔다. 그런데 필자의 운동경력에 한 참 못미치는 수련생들이 입문하여 두어달 뒤에 필자보다 다리를 쭉쭉 늘리는 모습을 보면 억울한 생각까지 드는 경우가 있었다. 그럴때마다 내가 이제까지 수년간 다리찢기에 투자했던 시간은 밑빠진 독에 물붓기 였나?? 싶은 생각도 들때가 있었다. 정말 유연성은 타고나야 하는 것인가??

타고난 유연성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들

필자는 짧지 않은 시간을 수련해왔으며(현재 공인 6단) 아무리 스트레칭에 소홀히 했다 하더라도, 운동전 항상 스트레칭으로 시작하는 태권도의 특성상 많은 시간을 자의든 타의든 스트레칭 운동을 해왔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이 유연성 이라는 것이 정말 필자에겐 어려운 부분이었던 것이, 지옥같은 고통을 동반한 스트레칭을 겪고 나서도 좀체 진전이 없었다는 것이 정말 힘든 부분이었다. 비슷한 시간을 투자하여 비슷한 강도로 스트레칭을 행했던 수련생들과 비교했을때 점점 차이가 나는 결과를 보았을땐 태권도 말고 다른운동을 했어야 했나.. 싶은 생각도 들었다. 

 

 

각자의 유연성은 타고 나는 것이다

이제껏 보아온 수련생들을 관찰해온 결과 필자가 내린 결론은 각자의 유연성은 타고난다는것이다. 이말인 즉슨 각자가 가지고 있는 근육의 질은 조금씩 다 다르다는 것이다. 비교적 적근(지근)을 많이 사용하는 품새, 백근(속근)을 많이 사용하는 겨루기를 연습하다 보면 각자가 가지고 있는 근육의 개성을 알아차릴 수 있다. 또한 여러 종류의 발차기 연습을 하다 보면 발차기의 높이, 발의 동선 을 보면 각자가 가지고 있는 유연성의 한계를 제3자의 입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후천적인 노력으로 유연성은 어느정도 좋아질 수 있을까?

본인 자신만이 알고 있다. '노력하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라는 이야기를 하기 보다는 필자의 경험에 비추어 현실적으로 이야기 한다면 정말 '본인 만이 알고있다' 라고 이야기 하고 싶다. 

 필자도 태권도를 시작한지 십몇년이 지난 시점에 옆차기를 머리끝 위치 이상으로 올려보고 싶다라는 욕심에 열심히 다리를 찢은 기억이 있다. 하지만 마음처림 몸의 변화가 쉽게 일어나지 않아 몇번이고 반복, 실패를 거듭했었다. 계속 되는 유연성 훈련을 하면서 이해 하게 된것은 내몸, 정확히는 내 근육에 대한 성질(개성) 이었다. 머리가 빠질것 같은 스트레스를 느끼며 다리를 찢었던 경험 덕에 내몸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었고 내 근육의 탄성, 유연성이 어느정도인지 가늠할 수 있었다.(결국 난 품새선수들처럼 높게 차는 발차기를 할수는 없었고, 내가 가지고 있는 근육은 빠른 스피드를 요하는 겨루기 발차기에 더 강점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유연성 집중 훈련을 하는 사람은 매일매일의 훈련속에서 본인이 어느정도 더 근육을 늘릴수 있겠구나 라는 느낌을 받을수 있을것이다. 그러한 느낌은 고통속에서 훈련을 진행한 사람만이 느낄수 있고 노력속에서 가능성을 발견할수 있을 것이다.

유연성을 타고난 사람이 분명 태권도를 하기에 유리한 것은 맞다. 하지만 유연성의 부족함은 노력으로 기본이상의 수준으로 끌어올릴수 있다. 또한 태권도는 품새, 겨루기, 격파 이렇게 3가지로 구성되어있다. 유연성이 정말 극악 이라고 하더라도 저 3가지중 본인이 잘할수 있는 한가지는 반드시 있다. 때문에 꾸준한 노력이 동반된다면 얼마든지 태권도를 즐길수 있으며 포기하지 않는 한 계속되는 성취의 희열을 느낄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